반응형
LIST
반응형
SMALL

#1

(출처: 유튜브채널 '인물체크')

 유튜브에 '피식대학'이란 채널이 있다. 이 채널 속 캐릭터인 최준의 '준며들다'는 유행어가 됐고, 옷장수 캐릭터인 쿨제이의 걸걸한 목소리를 듣다 보면 어느새 그 옛날 밀리오레 백화점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너무나도 상반되는 이 두 캐릭터는 놀랍게도 유튜버 김해준이 1인 다역으로 연기하는 캐릭터이고, 이 채널에 등장하는 다른 캐릭터들 또한 피식대학 유튜버들의 1인 다역 캐릭터들이다. 개성 넘치는 캐릭터가 만들어내는 에피소드들로 인해 피식대학은 어느덧 구독자 50만 명을 넘어선 큰 채널이 됐다. 그리고 이 채널에서 활동하는 이들은 개그콘서트가 사라질 때만 해도 설자리를 잃었다고 생각됐던 개그맨들이다. 

 


#2

 그렇다. 불과 8개월전이 2020년 6월, 개그콘서트의 종영으로 지상파 개그 프로그램은 사라졌고, tvN의 코미디빅리그만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많은 개그맨들이 일자리를 잃었다. 개그콘서트가 사라졌다는 소식을 접한 일반인들은 개그맨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피식대학 이전에도 이미 엔조이 커플, 대범한 TV 등 많은 개그맨들이 대형 유튜버로 거듭났고 꼰대희, 권혁수감성 등의 채널도 승승장구하고 있다.

(출처: 유튜브채널 '꼰대희')

 특히 꼰대희 채널에서 개그맨 김대희는 개그콘서트에서 흥행했던 코너인 '대화가 필요해'의 플롯을 가져온 콘텐츠에서 동료 개그맨들과의 콩트와 셀프디스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유튜브 콘텐츠다운 자유로운 비속어 사용과 더 다양한 소재들로 인해 사람들로부터 틀에 갇힌 개그가 많았던 지상파의 한계를 벗어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바야흐로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대 콘텐츠의 시대 속에서 그동안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기 위해 노력해 왔던 개그맨들이 기회를 잡은 것이다. 

 나는 개그맨들이 운이 좋았다고 얘기하고 싶지도 않고, 개그맨들처럼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기 위한 노력을 지금부터 하라고 얘기하고 싶지도 않다. 모든 개그맨들이 성공하지 않은 것처럼, 똑같은 위기 앞에서 누군가는 절망하지만 누군가는 기회를 잡기 위해 다른 시선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판단한 뒤 움직인다는 것을 얘기하고 싶었다. 

 모두들 제각각의 장점이 있다. 천성이었든 후천적 노력이었든 개그맨들에겐 그것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었고, 우리들 또한 각자 이와는 다른 장점을 갖고 있을 것이다. 다양한 경험은 자신이 좋아하는 게 무엇이고, 어떤 것에 재능이 있는지 좀 더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자신의 장점이 무엇인지 찾고 이를 계속 갈고닦아 자신의 무기로 만든다면, 코로나 사태와 같은 예측할 수 없는 미래가 닥쳐오더라도 슬기롭게 대처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자신의 장점이 하나의 목표가 되어 그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는 것 또한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한 발짝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나 또한 꾸준한 집필 활동이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되는 내 목표를 이루는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많이 부족한 글입니다. 댓글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