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SQLD시험의 1과목이 어렵다고 했는데 결과를 보니 생각보다 점수가 잘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념 정립이 확실하지 않아 헷갈리는 선지가 많았는데 운이 좋게도 비슷하다고 생각한 것들이 정답이었던 모양이다. 덕분에 합격할 수 있었으며 이번 글에서는 이 시험을 얼마나 준비했고 어떻게 준비했는지 써볼까 한다.
- 준비 기간 : 1달 (이론 1주, 문제 풀이 3주)
- 순 공부 시간 : 45시간 (평일 1시간 & 주말 2시간 기준)
- 공부 방법 : 이론 - SQLD 이론 요약집 참고(구글 검색) & 유튜브 강의 2시간 시청, 문제 풀이 - SQLD 노랭이 5 회독 및 최신 기출 복원 문제 1 회독(구글 검색)
시작하기에 앞서 나의 전공 여부를 따져보자면 전공자라 할 수 있다. 학부 시절 C, C++, 파이썬, 자바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경험했었고 사이드 프로젝트 시 백앤드로 mysql과 자바를 활용하였으며 회사 신입사원 교육 기간 중 mysql 쿼리문을 실습했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 정보를 취합해 봤을 때 이 시험은 깊은 이론 공부가 필요 없어 보였다. 그래서 요약집으로 이론 공부 대체했고 노랭이 3 회독 후 유튜브 강의를 보며 부족한 이론 공부를 보충했다. 이때 참고한 것이 김강민 SQLD 채널의 SQLD 이론 요약 강의였다.
시험을 보고 난 후 이 강의가 도움이 됐는지 생각해보면 큰 도움은 되지 않았다. 이유는 강의를 보고 1과목의 이론을 깊게 공부 안 했던 나에게 있으며 이 강의에서 나온 1과목의 주요 개념들을 스스로 잘 정리해 놓는다면 과락 걱정은 안 해도 될 거라고 생각한다.
앞서 말했듯이 이론을 훑어본 뒤에는 노랭이 다회독을 진행했는데 확실히 이 부분이 실제 시험에서 큰 도움이 됐다. 2과목에서는 아예 똑같은 문제도 보였고 유튜브에 있는 문제 해설을 보면서 부족했던 부분을 보충하기도 좋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보다 더 많이 도움이 된 것이 바로 쿼리문 실습이었다. 나에게 2과목이 쉬웠던 이유는 문제를 풀면서 손으로 쿼리문의 결과를 써 내려갔을 때 명확한 답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쿼리문 실습을 진행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겐 2과목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1과목의 개념을 확실하게 정립하고 쿼리문 실습을 통해 2과목을 준비한다면 비전공자는 3주, 전공자는 2주 정도의 준비기간만 있으면 어렵지 않게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공부가 필요한 시험이 아닌 만큼 현업에서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진 않는다. 다만 쿼리문을 봤을 때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고, select 문을 작성할 때 올바른 조인을 통해 카테시안 곱이 생기는 결과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준 정도는 보장해 주는 자격증이라 생각한다.
이제 다음 목표인 정보처리기사를 위한 준비를 조만간 시작할 예정이다. 목표는 내년 1회차 기사 시험 동차합격이다. 이 글을 읽은 모든 SQLD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합격을 기원한다.
댓글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회사생활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후기 <공부 기간 및 방법> (0) | 2025.03.19 |
---|---|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후기 <25년 1회, 수원디지털시험센터 주차 정보> (0) | 2025.03.05 |
SQLD (SQL개발자) 자격시험 후기 <제 53회 시험, 수원공업고등학교, 24.05.25> (2) | 2024.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