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25년 1회 필기시험에 응시하였고 시험 직후 확인한 결과와 동일한 점수를 얻어 합격하게 됐다. 오늘은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준비 기간과 방법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내용 요약 전공자 여부 : 전공(학부 전기전자제어과, 프로그래밍 경험 있음, 현 직장에서 IT시스템 운영 직무 1년차) 시험 준비 기간 : 두 달 준비 방법 : 이론 공부(유튜브 이론 요약 1회독) 및 기출문제 풀이(2020~2024년 2회독) |
일단 필자는 전공자이다. 전기전자제어 공학부에서 자바, C, C++, matlab, python 등 다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뤄봤으며 현 직장에선 1년 동안 오라클, 리눅스 환경에서 SQL 쿼리문, 리눅스 명령어, C shell 등을 사용하여 IT시스템 운영 직무를 수행해왔다.
시험 준비 기간은 약 두 달이며, 정확하게는 1월 13일에 정보처리 기사 필기 시험을 접수한 뒤 공부를 시작했다. 이전에 학부 시절 정보처리기사 필기 이론을 약 한 달 동안 공부한 경험이 있으나, 22년도 얘기라 모든 이론을 거의 다 까먹은 상태였다.
공부를 시작하면서 제일 먼제 이론 공부를 했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유튜브 이기적 영진닷컴에 올라온 정보처리 기사 이론 정리를 1.5배속으로 1 회독하였다.
여유가 있었다면 2회독도 하고 싶었지만, 1.5배속 1회독도 강의 필기를 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기 때문에 그럴 수 없었다. 중요한 포인트들을 집어주면서 어떻게 외워야 하는지 예시도 알려주기 때문에(예 : 모듈 결합도 순서 > 데스제외공내)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기출문제를 풀 때 중요 포인트로 집어준 곳에서 확실히 많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론 1회독 후에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기출문제를 총 2 회독했다. 첫 1 회독 때는 1과목인 소프트웨어 설계와 5과목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에서 과락이 많이 나왔었다. 확실히 암기 과목에 약했기 때문에 그랬던 것 같은데, 기출문제 뻉뺑이를 통해 아예 동일하게 나오는 문제들의 정답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2 회독에는 모든 기출문제 과락 없이 평균 70점 이상이 나올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시험 전 기출문제 풀이 점수보다 본 시험 점수가 낮을 것이라 생각하여 평균 70점 정도면 안정권이라 생각하고 시험을 보러 갔었다. 막상 시험 문제를 봤을 때 기출문제에서 전혀 보지 못했던 문제들이 많아서 당황스러웠고, 때문에 문제를 풀 때 정답이 확실한 것만 우선 풀은 뒤 남은 문제들을 다시 보면서 신중하게 풀었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다행히 찍은 문제들이 많이 맞아줘서 과락 없이 평균 70점 점수로 합격할 수 있었다.
시험 후 후기를 봤을 때 정보처리기사가 CBT 방식으로 전환된 이후 매 시험마다 난이도와 문제들이 상이했다고 들었기 때문에 이 시험을 무난하게 통과하기 위해서는 개정 전 기출문제들 까지 3 회독 정도는 해줘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으로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후기를 마치며, 이제는 7월에 있을 실기 시험을 준비할 예정이다.
댓글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회사생활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후기 <25년 1회, 수원디지털시험센터 주차 정보> (0) | 2025.03.05 |
---|---|
SQLD 합격 후기 <공부 기간 및 방법> (0) | 2024.06.19 |
SQLD (SQL개발자) 자격시험 후기 <제 53회 시험, 수원공업고등학교, 24.05.25> (2) | 2024.05.25 |